[앵커]
미국에서 한국 드라마 인기가 이어지면서, 지난해 가장 많이 시청한 콘텐츠 상위권에도 여러 편이 이름을 올렸는데요.
미국의 한 대학교에선 저명한 학자의 특강을 통해 'K-드라마 열풍'의 비결을 분석하고 조언하는 자리가 마련됐습니다.
현장에 조인영 리포터가 다녀왔습니다.
[기자]
미국 필라델피아의 명문 인문대학으로 알려진 브린마대학교.
학생들의 견문을 넓히기 위해 100년 전부터 세계적인 석학을 초빙해 3년에 한 번씩 특별 강연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이번 특강 주제는 'K-드라마가 미국 사회에 끼친 영향'.
강연자는 미국의 저명한 사회심리학자 민디 풀리러브 교수입니다.
한류 인기를 보여주듯, 강의실은 학생들로 가득 찼습니다.
[이사벨 리/ 행사 공동주최·바린마대학교 박사과정 : K-드라마가 가지는 고유성, 그렇지만 그게 왜 전 세계 사람들에게 사랑받게 됐는지, 어떤 점이 미국 사회에 심금을 울리게 됐는지를 중심으로 심포지엄이 개최됐습니다.]
코로나19 팬데믹 당시 우연히 K-드라마를 보고 그 매력에 빠졌다는 풀리러브 교수.
'이상한 변호사 우영우'를 소개하며.
신선한 소재를 담아내는 것이 K-드라마의 힘이라고 분석했습니다.
자폐 스펙트럼 장애를 앓고 있는 드라마 주인공을 통해 미국 사회도 장애에 대한 이해를 넓히는 계기가 됐다는 겁니다.
[민디 풀리러브/ 미국 뉴스쿨대학교 석좌교수 : 많은 미국인이 이 드라마를 봤습니다. 자폐 스펙트럼 장애를 세심하게 그린 장면들을 보고 동료 교수나 지인들도 자폐에 대해 많이 배우고 이해하게 됐다고 합니다.]
2021년 '오징어 게임'을 시작으로 K-드라마가 미국인들의 눈길을 사로잡고 있습니다.
2023년 상반기, 미국 대표 OTT 플랫폼에서 가장 많이 시청한 100개 콘텐츠 가운데 3위는 K-드라마 '더 글로리'.
'더 글로리'를 포함해 한류 콘텐츠가 무려 14개나 순위권에 올랐습니다.
K-드라마 인기에 힘입어 해외로 판매되는 한류 콘텐츠도 늘고 있습니다.
2022년 한국의 방송 프로그램 수출액은 약 7,308억 원.
전년보다 30% 증가했습니다.
미국은 일본에 이어 전 세계에서 두 번째로 한류 콘텐츠를 많이 소비한 나라입니다.
전문가들은 미국 내 K-드라마 인기가 일시적인 현상에 그치지 않기 위해선 한국 고유의 특색을 잃지 말라고 조언합니다.
[민디 풀리러브/ 미국 뉴스쿨대학교 석좌교수 : 서양식 서사가 아닌 한국식 서사를 계속 가지고 가야 합니다. 바로 그 점에 미국인들이 매료됐기 때문입니다. 한국만이 지닌 독특한 문화를 담아내는 것이 중요합니다.]
[안젤리나 터커/ 미국 필라델피아 : 가족과 공동체가 중요하다는 걸 보여줘서 좋았어요. K-드라마를 보면 마치 가족을 보는 것처럼 마음이 편안해져요.]
지난 한 해 동안 다양한 주제로 미국인들을 사로잡은 K-드라마.
새해에는 또 어떤 흥행작들이 눈길을 끌지, 벌써 관심이 모아지고 있습니다.
미국 필라델피아에서 YTN 월드 조인영입니다.
YTN 조인영 ([email protected])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email protected]
▶ 기사 원문 : https://www.ytn.co.kr/_ln/0106_202401...
▶ 제보 하기 : https://mj.ytn.co.kr/mj/mj_write.php
▣ YTN 유튜브 채널 구독 : http://goo.gl/Ytb5SZ
ⓒ YTN 무단 전재, 재배포금지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
Watch video "한국적인 서사의 매력"...미국 'K-드라마' 열풍 비결은? / YTN online without registration, duration hours minute second in high quality. This video was added by user YTN 31 December 2023, don't forget to share it with your friends and acquaintances, it has been viewed on our site 70,768 once and liked it 943 peop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