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민국이 망한 이유 (뻔한 얘기 아님)

Published: 27 April 2024
on channel: NJT_BOOK
1,953,881
69k

편집 : 장관 (김엽)
디자인 : 차관 (박혜진)
대본 보조 : 국장 (김민정)

[참고 문헌]
인용은 따로 본문에 각주로 표기합니다
꺽쇠 괄호 표기X

박영신. (1995). 종교적 물질주의 : 우리의 전통과 사회 구조. 사회이론,(13), 43-66.
최준식. (2009). 현대 한국 종교의 물질중심주의. 한국문화연구, 16, 169-197.
문상석. (2020). 한국 종교의 물질주의적 가치 지향의 역사적 과정 고찰 -국가 배태성을 중심으로-. 사회이론,, 451-482, 10.37245/kjst.2020.11.58.451
양해만, 조영호. (2018). 한국의 사회경제적 변화와 탈물질주의. 한국정치학회보, 52(1), 75-100.
최병섭, 이지연. (2019). 대학생의 물질주의, 외모주의, 사회비교, 외모만족도, 우울의 구조적 관계분석. 아시아교육연구, 20(4), 1039-1063, 10.15753/aje.2019.12.20.4.1039
윤성욱, 강아롱. (2021). 물질주의가 과시소비, 충동구매와 삶의 만족 및 부정적 감정에 미치는 영향. 경영교육연구, 36(1), 339-358, 10.23839/kabe.2021.36.1.339
한혜원, 양수진. (2021). 대학생의 물질주의, 생애목표 유형에 따른 그릿, 삶의 의미, 행복감의 차이: 잠재프로파일분석의 적용. 사회과학연구논총, 37(1), 251-273.
현지원, 김정미, 황선진. (2021). 밀레니얼 세대의 나르시시즘과 물질주의가 럭셔리 제품의 보상적 소비에 미치는 영향 -자기통제감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패션 비즈니스, 25(4), 109-124.
김민호, 윤성욱, 서미옥. (2021). 제품평가에 있어서 부러움과 질투의 역할 : 브랜드 명성과 물질주의 성향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산학기술학회 논문지, 22(8), 546-554, 10.5762/KAIS.2021.22.8.546
강아롱, 윤성욱. (2022). 한국형 물질주의 척도개발 및 타당성 검증. 소비자학연구, 33(2), 55-86, http://dx.doi.org/10.35736/JCS.33.2.3
이미숙. (2022). 물질주의 가치에 따른 가방 구매행동 연구. 한국의상디자인학회지, 24(3), 33-48.
김세욱. (2022). 물질주의적 경쟁 대한 비판과 니체적 경쟁의 의미. 철학논총, 110, 19-42, 10.20433/jnkpa.2022.110.19
도태수. (2023). 물질종교, 신유물론으로 접근하기. 종교문화비평, 43(43), 279-313.
우해봉. (2018). 저출산 시대의 인구정책. 한국인구학, 41(2), 31-59, 10.31693/KJPS.2018.06.41.2.31
함인희. (2018). 저출산, 원인은 무엇이고 해법은 있는가?. 내일을 여는 역사, 71·72, 104-116.
정성호. (2018). 저출산 대책의 패러다임 전환을 위한 과제. 한국인구학, 41(3), 41-63, 10.31693/KJPS.2018.09.41.3.41
임광국. (2018). 저출산 문제와 가족이데올로기. 교육비평,(42), 92-117.
김수정. (2019). 저출산·고령화 시대 한국의 인구 정책에 관한 비판적 고찰. 한국도시지리학회지, 22(2), 143-158.
김영미. (2019). 저출산, 진정 해법은 없는가. 월간 공공정책, 161, 11-14.
편집부. (2019). 최악을 향해 가는 저출산, 답은 없나. 월간 공공정책, 161, 10-10.
강해주. (2019). STORY & LIFE 저출산 대책, 돈보다 양육 존중문화가 해법. Electric Power, 13(5), 94-94.
정문성, 박기범, 한동균. (2019). 사회과에서 저출산·고령화 교육의 방향 모색. 사회과교육, 58(3), 115-135, 10.37561/sse.2019.09.58.3.115
전윤선. (개최날짜). 저출산 극복을 위한 한국 · 일본의 정책과 일자리창출. 대한일어일문학회 학술대회 발표논문 요지집, 개최지.
문정희, 김성순. (2019). 가치관 분석을 통한 저출산 대응방안. 연구보고서,, 1-281.
문정희. (개최날짜). 저출산과 결혼 · 출산 가치관. 한국지방정부학회 학술대회자료집, 개최지.
이영림. (2021). 근대적 저출산의 사회문화적 요인: 프랑스의 경험과 한국사회의 미래. 인간과 평화, 2(2), 187-210.
구양미. (2021). 인구 변화와 도시 쇠퇴의 지역 불균형: 저출산과 지방소멸 문제에 대한 시사점. 국토지리학회지, 55(3), 301-320, 10.22905/kaopqj.2021.55.3.5
박미경. (2022). 저출산 대응정책의 요구도 및 우선순위 분석: MZ세대 인식을 중심으로. 한국정책연구, 22(1), 33-54, 10.46330/jkps.2022.3.22.1.33
배순영. (2022). 소비자관점에서 본 저출산·고령사회기본계획, 성과와 과제 : 고령사회 정책을 중심으로. 소비자정책동향,(121), 1-22.
송지연. (2022). 저출산·고령화 사회 대응을 위한 아베 정부의 노동시장과 사회복지정책. 한국과 국제정치, 38(2), 93-124.
이한나. (2022). 대학생의 저출산에 대한 인식, 출산 결정요인이 출산의지에 미치는 영향. Crisisonomy, 18(10), 147-157.
윤지원, 박미라. (2022). 대학생의 저출산・고령화사회 및 인구교육 관련 인식이가족가치관에 미치는 영향. 인문사회 21, 13(5), 1375-1388.
이찬주. (2022). 우리나라 저출산 대응 정책에 대한 남성의 인식 차이 탐색: Q방법론을 중심으로. 정책분석평가학회보, 32(3), 115-150, 10.23036/kapae.2022.32.3.5
강서구. (2023). PART 1 저출산의 새로운 고찰 : 낳느냐 낳지 않느냐의 문제 아니다. 더스쿠프,(531), 18-19.
김조일. (2023). ‘노동력의 위축된 재생산’에 따른 저출산 및 인구감소 ― ‘인구학 권위자’ 조영태의 인구, 미래, 공존 비판. 정세와노동,(190), 42-73.
박주희. (개최날짜). 지방 중소도시의 저출산 극복 방안. 한국지역사회생활과학회 학술대회 자료집, 개최지.
양재진, 장우윤. (2023). 한국의 초저출산 극복을 위한 정책조합 연구. 한국정책학회보, 32(2), 33-55, 10.33900/KAPS.2021.32.2.2
김지인. (2023). 저출산은 재앙이 아니다. 브레인, 99, 52-53.
라영환. (2023). 저출산 문제에 관한 개혁신학적 고려. 개혁논총, 64, 97-125.
김근태. (2023). 저출산 시대의 혼전임신 현황과 사회경제적 결정요인. 경제와사회,, 41-67, 10.18207/criso.2023..138.41
김민준, 이상원, 서진호, 김수빈, 임희수, 백서현, 최진무. (개최날짜). 고령화와 저출산 가속화에 따른 재난 대응 취약지역 탐색. 대한지리학회 학술대회논문집, 개최지.
박한선, 변미리, 유민상, 차영재, 손하늘. (2023). 한국의 초저출산: 무엇이 원인이고 무엇이 해법인가. 문명과 경계,(7), 239-288.
이진숙. (2023). 독일의 저출산문제 대응정책과 시사점. 월간 공공정책, 216, 21-23.
전윤선. (2023). 저출산 극복을 위한 일본의 노력. 월간 공공정책, 216, 28-31.
정재훈. (개최날짜). 인구정책에서 가족정책으로 저출산 대응의 새로운 출발 – 인구정책에서 가족정책으로의 전환. 한국사회복지학회 학술대회 자료집, 개최지.
최유석. (개최날짜). 저출산 문제해결을 위한 영 · 유아 부모의 가족가치관 잠재프로파일에 따른 결혼만족도, 후속 출산의지 차이. 한국아동학회 학술발표논문집, 개최지.
김정훈, 박아희, 최혜봉. (개최날짜). 한국 저출산 문제의 정량적 분석: 문화적 요인의 기여를 중심으로. Proceedings of KIIT Conference, 개최지.
에리히 프롬. (1972). 인간회복 예언자의 평화관. 기독교사상, 16(5), 70-77.
김성재. (1973). 에리히 프롬(이극찬 역), 희망의 혁명. 신학연구, 14, 298-301.
송재룡. (2001). 종신분석학적 종교이해의 가능성과 한계. 사회이론,(19), 164-195.
홍순원. (2011). 에리히 프롬의 정신분석학적 윤리. 한국기독교신학논총 , 74(1), 229-246.
박홍규. (2006). 사랑은 배워야 하는 것 - 박홍규 님ㆍ에리히 프롬 사랑의 기술. 월간 샘터,, 124-124.
심일섭. (1974). 에리히 프롬의 인간과 사회와 종교. 기독교사상, 18(9), 67-78.
박찬국. (2011). 불교와 그리스도교에 대한 니체의 견해에 대한 비판적 고찰 -에리히 프롬과의 비교를 통해서-. 현대유럽철학연구,(27), 101-138.
진덕규. (1977). 서평-에리히프롬과의 대화. 기독교사상, 21(2), 173-176.
정창록. (2014). 한국 의료계의 권위주의적 매커니즘에 대한 분석과 생명의료윤리교육 I - 에리히 프롬의 입장을 중심으로. 한국의료윤리학회지, 17(2), 187-213.
송용구. (2015). 자유를 결박하는 욕망의 올무. 문예운동,, 114-121.
김용식. (2016). 에리히 프롬 사상의 교육적 의미 - 『소유냐 존재냐』를 중심으로 -. 경인교육대학교 교육연구원 교육논총, 36(2), 153-171.
오수경. (2016). 비문학 읽기 자유로부터의 도피 (에리히 프롬). 유레카,(391), 60-63.
민윤영. (2017). 인간, 동물, 로봇 그리고 바이오필리아(biophilia)의 법 -에리히 프롬(Erich Fromm)의 사상을 중심으로-. 법철학연구, 20(1), 299-332.
전용근. (2015). 서평 (1) 이름 없는 하나님 앞에 선 자유로운 인간. 기독교사상,, 196-204.
심재명. (2022). 에리히 프롬을 통해 본 여가의 의미. 관광연구논총, 34(2), 3-27, 10.21581/jts.2022.5.34.2.3
김미란, 김찬국. (개최날짜). 에리히 프롬의 논의의 환경교육적 재조명. 한국환경교육학회 학술대회 자료집, 개최지.


Watch video 대한민국이 망한 이유 (뻔한 얘기 아님) online without registration, duration hours minute second in high quality. This video was added by user NJT_BOOK 27 April 2024, don't forget to share it with your friends and acquaintances, it has been viewed on our site 1,953,88 once and liked it 69 thousand peop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