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조광래, 한국항공우주연구원장
[앵커]
2016년 정부 예산안 중 관심을 끌었던 것이 바로 달 탐사 관련 예산입니다. 한국 우주개발 역사상 처음으로 우주탐사 예산이 처음으로 편성된 건데요. 이 시간에는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조광래 원장을 모시고, 한국형 발사체 달 탐사 프로젝트에 대한 자세한 내용을 알아보겠습니다. 어서 오십시오.
먼저 달 탐사 프로젝트가 어떻게 이뤄지는 건지, 내용을 모르는 분들이 많습니다. 어떻게 진행되는 계획입니까?
[인터뷰]
전 세계적으로 지금까지 달 탐사를 한 나라가 그렇게 많지 않습니다. 우리 주위에 미국, 러시아, 중국, 일본 그리고 인도 정도가 달 탐사를 했습니다. 우리도 달 탐사를 계획을 수립하고 있습니다만, 우선으로는 달에 궤도선을 먼저 보내서 달 주위를 돌면서 달에 대해서 기본적인 관측을 하고, 그다음에 기술이 습득되면 달 착륙선, 우선 무인으로 하는 겁니다. 무인 달 착륙선을 보내서 달 탐사를 하는 그런 계획을 지금 저희가 가지고 있습니다.
[앵커]
그럼 먼저 달 궤도를 도는 궤도선을 쏜다는 건데 이 궤도선은 어디에 실어 보냅니까?
[인터뷰]
우선 발사체가 있어야 하겠지요. 그런데 지금 당장 우리 한국이 스스로 우주발사체를 가지고 있어서 발사하면 좋을 텐데, 아직은 저희가 그 정도의 역량을 가지고 있지 못합니다. 지금 현재 개발을 진행하고 있고요. 그래서 우선, 먼저 말씀드린 대로 달 탐사선이라고 하는 것은 아쉽지만, 남의 나라의 발사체에 힘을 빌려서 보내고, 그다음에 우리가 지금 개발하고 있는 한국형 발사체가 성공적으로 개발 되면, 거기에 무인 달 착륙선을 실어서 보내는 그런 두 단계로 나눠서 계획을 추진할까 하고 있습니다.
[앵커]
궤도선은 구체적으로 어떤 역할을 하게 됩니까?
[인터뷰]
달 궤도선, 그러니까 이름 그대로 달 궤도를 돌게 되겠지요. 달 궤도를 돌면서 달에 관한 정보를 사진으로 찍는다든가, 이렇게 해서 관측을 하게 됩니다. 지금 대략 계획은 달에 100km까지 근접해서 돌면서 달의 정보를 입수하는데, 특히 그때 수집한 정보는 앞으로 보낼 달 착륙선이 어디에 착륙하면 좋을까, 하는 위치를 정하는 데 활용하게 될 것입니다.
[앵커]
궤도선을 쏜 다음에는 달 탐사선을 달 표면에 착륙시킨다는 계획인데요. 이때는 한국형 발사체를 이용한다고요? 그러면 순수 국산 기술로 쏘아 올리는 겁니... (중략)
▶ 기사 원문 : http://www.ytn.co.kr/_ln/0105_2015092...
▶ 제보 안내 : http://goo.gl/gEvsAL, 모바일앱, [email protected], #2424
▣ YTN 유튜브 채널 구독 : http://goo.gl/Ytb5SZ
[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 Korea News Channel YTN ]
Watch video 2020년 한국형 발사체 달나라 간다 / YTN online without registration, duration hours minute second in high quality. This video was added by user YTN 20 September 2015, don't forget to share it with your friends and acquaintances, it has been viewed on our site 29,171 once and liked it 86 peop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