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에서 백신 접종이 시작된 건 지난 2월 말입니다. 열달 가까이 됐는데 국민 81% 정도가 2차 접종지 마쳤습니다. 미국과 영국 등은 우리보다도 앞서 접종을 시작했죠. 정확히 1년 전입니다. 영국의 아흔 살 할머니가 세계 최초로 코로나19 백신을 맞았습니다. "백신 접종은 최고의 일"이라며 접종을 권했는데요. 엿새 뒤 미국에선 자메이카 출신 간호사가 처음 백신을 맞으며 '희망'을 이야기했습니다. 이러면서 코로나가 조만간 끝날 거란 기대도 나왔는데요. 하지만 전 세계 인구 절반 정도가 접종을 마친 지금도 끝은 보이지 않습니다. 접종 완료율도 선진국은 60~90%인 반면 한자리 수도 안되는 나라까지 편차가 극심합니다. 여기에 백신을 무력화하는 새 변이들이 나오면서 3차 접종은 필수가 되어가는 분위깁니다. 먼저 백신 접종 1년을 뉴욕 한보경 특파원이 진단합니다.
[리포트]
미국에서 코로나19 백신을 가장 먼저 맞은 간호사 샌드라 린지씨, 긴급 승인된 백신의 첫 접종자였지만, 두려움은 없었습니다.
거의 1년을 겪은 코로나19의 고통이 너무 컸기 때문입니다.
[샌드라 린지/간호사/미국 코로나19백신 첫 접종 : "코로나19 사태는 (간호사인) 저에겐 어깨가 무거울 정도로 계속 부담이었어요. 백신을 맞고 안심이 됐었죠."]
델타변이발 확산세가 조금 진정되는가 싶더니, 린지씨가 재직 중인 병원에도 지난달부터 다시 코로나19 중증환자가 늘고 있습니다.
대부분 백신 미접종자들입니다.
[샌드라 린지/간호사/백신 첫 접종 : "입원하는 환자들은 백신을 맞지 않은 사람들입니다. 특히 젊은이들이 숨지는 걸 보기도 해요. (백신으로) 자신과 사랑하는 사람들, 지역사회를 보호해야 합니다."]
하지만, 모두가 린지 씨와 같은 생각은 아닙니다.
미국은 당초 접종 6개월이면 집단면역에 도달할 거라 했지만 접종 1년이 다 돼가는 현재, 미국 접종률은 60%로 주요 선진국들 중 가장 낮은 수준입니다.
코로나19 누적 사망자 수가 79 만명이 넘는 최대 피해국인데도, 안 맞는 사람은 계속 안 맞고 있는 겁니다.
'백신 의무화' 행정명령에 대한 소송과 반대 시위도 잇따르고 있습니다.
[리차드/시위 참가자 : "강요받고 싶지 않은 거죠. 미국은 자유국가잖아요. 이 (백신 의무화) 행정명령은 옳지 않습니다."]
반면, 백신 부족한 아프리카 등의 저소득 국가들은 없어서 '맞질 못하고' 있습니다.
접종률 낮은 곳에서 변이가 만들어지는 악순환도 계속되고 있습니다.
'백신이 있는 나라, 없는 나라', '백신을 맞는 사람, 안 맞는 사람', 코로나19 백신으로 사회가 나뉘고 있습니다.
하지만 백신을 맞았건, 안 맞았건, 그리고 못 맞았건, 계속되는 바이러스와의 싸움에서, 아직 아무도 빠져나오지는 못했습니다.
'다 같이' 맞질 않았기
▣ KBS 기사 원문보기 : http://news.kbs.co.kr/news/view.do?nc...
▣ 제보 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 전화 : 02-781-1234
◇ 홈페이지 : https://goo.gl/4bWbkG
◇ 이메일 : [email protected]
#코로나 #백신접종 #화이자
Watch video 맞은 자·못 맞은 자·안 맞는자…백신으로 나뉜 세상 / KBS 2021.12.08. online without registration, duration hours minute second in high quality. This video was added by user KBS News 08 December 2021, don't forget to share it with your friends and acquaintances, it has been viewed on our site 23,879 once and liked it 210 people.